본문 바로가기
경제생활

주식 매도 후 출금, 입금, 예수금 가능시간

by &$@#* 2021. 5. 14.
반응형

오늘 주식을 매도했는데 왜 인출금액이 0원이죠? 주식 매도 후 입금,출금은 언제될까요? D+2예수금 제도와 주식매도 후 출금 가능시기를 알아보겠습니다.

 

주식매도-후-출금-입금-예수금

 

주식 매도 후 출금, 입금

 

주식을 매도하면 증권계좌로 바로 돈이 입금되지 않습니다. 국내 주식시장은 주식 매도일로부터 +2일째 (D+2)에 결제가 체결되는 시스템입니다.

 

  • 즉 2영업일 후에 입금이 되고, 그날 출금이 가능합니다.

 

- 주말이나 공휴일은 주식시장이 열리지 않아서 영업일에서 제외되는데, 금요일에 주식을 매도 했다면 토요일&일요일은 제외하고 다음주 화요일에 매도대금이 입금됩니다.

 

- 공휴일도 마찬가지로, 목요일에 매도했는데 금요일이 공휴일이라면금요일, 주말(토/일) 제외하고 화요일에 입금일이 됩니다.

 

참고로, 증시일정 및 거래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식-거래시간
주식 거래시간

 

2영업일 이후 입금이 되는데, 입금시간은 언제일까요?

 

주식을 팔면 2영업일 후 자정에 입금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일반적으로 오전 7시 전후로 입금되어집니다.

 

증권사들마다 정산 및 결제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증권계좌로 들어오는 입금시간은 증권사마다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주식 매도 세금

 

주식계좌로 입금된 금액은 예수금 항목으로 계좌에 들어오는데, 매도체결된 가격에 세금과 수수료가 차감되어 입금됩니다.

 

  • 주식매도시 수수료 및 세금= 증권사 거래수수료+유관기관 수수료+증권거래세

 

  • 주식매수시 수수료 및 세금= 증권사 거래수수료+유관기관 수수료

 

2영업일이 지나고 투자자가 인출이 가능한 시점, 주식 매도 후 현금화가 가능한 대금을 D+2 예수금이라고 합니다.

 

주식거래시 실제 체결은 2영업일 이후에 체결이 된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이때 들어온 입금이 정확한 현금 자산입니다.

 

일반 은행거래에서 '잔액'의 의미로 생각하면 되는데, 인출할 경우 D+2 예수금에서 인출이 가능합니다.

 

마치며

 

주식 투자를 할 때 증권사를 통해서 주식을 사고 팔고 합니다. 즉, 투자자가 직접적으로 매도,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증권사인 대리기관을 거치게 됩니다.

 

따라서 증권사가 증권예탁결제원에 거래내역 등록 절차를 마치고 소유권을 넘겨야 주식이 매도체결이 되고 매도대금이 증권계좌에 입금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식 매도 후 즉시 출금/이체/인출은 불가하고, 2영업일(D+2 )후 예수금에서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